마케팅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6건
- 게시물 73건
- 7/8 페이지
SaaS Story 내 결과
-
전환율을 높이는 SaaS 콘텐츠 작성 체크리스트8 (feat. 챗GPT)요즘 챗GPT 한참 핫하잖아요. 저 또한 GPT의 도움을 받고 있기에 GPT를 활용해서 글의 스토리를 만드는지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더불어서 오늘의 주요 내용인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SaaS 콘텐츠 작성 체크리스트'를 소개하려고 해요.GPT가 나오기 전이라고 해도 몇 개의 키워드 만으로 다양한 정보를 무궁무진하게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 있는 요즘은 글쓰기를 위한 정보 수집도 매우 쉬워졌습니다. 정보가 넘치는 것과 별개로 특정 유저에게 글쓴이가 원하는 …
-
SaaS 제품 투어(온보딩)기획에 마케터 참여는 필수! 현업에 있으면서 다수 마케터 분들이 제품에 직접적인 관여를 하는 기획에 대해 '어? 이것도 내 포지션에서 해야 하는 부분인가?'를 고민하는 경우를 많이 보고는 했어요. 물론, 이 같은 고민을 하는 게 당연하죠. 비즈니스 조직(세일즈, 마케팅 등)은 개발 조직(개발, 기획, 디자인)에서 협의 끝에 나온 제품을 잘 알리고, 파는 게 목적이니까 괜한 업무 관여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시 꺼림칙한 요소가 발생할 수 도 있다는 고민 하게 되니까요. 그럴 바엔 하지 말자가 돼버리고 말죠.그…
-
마케팅 자동화 SaaS로 업무 시간 절약하기: 업무 자동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요즘! 쉬운 것 부터 시작해보자 요즘 일을 하다 보면 업무 자동화 툴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대부분 툴의 존재를 다 알고 계시긴 한 것 같아요. 한 2~3년 전쯤만 해도 이런 걸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툴들이 있어요! 하면 다들 우와~~ 하셨던 때도 있었는데 그때와 달리 툴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으나 실무 적용방법이 애매해 시도하지 않는 방향으로 인식이 레벨 업 된 것 같아요. '아 그거 하면 좋다고는 하는데.. 사실 난 설정하고 공부하는 게 더 번…
-
SaaS마케팅은왜글로벌시장을벤치마킹할까?:글로벌스탠다드(Global Standard)기준에주목해보자국내에서 시작된 산업이 아니기에 그 흐름을 따라가는 건 당연한 것 이전 '국내에서 SaaS 마케팅의 인지도가 낮은 이유'에서도 소개했지만 SaaS의 출발점은 국내가 아닌 미국이죠.그렇다 보니 그쪽에서 시작한 마케팅 방향성을 따라가는 게 자연스럽긴 해요. 사실, 마케팅뿐만 아니라 세일즈, 제품 개발 방향, 신규 기능 기획 등 모든 방향성이 이미 해외에서 성공한 제품들의 초기 방향들을 벤치 마킹 하죠. 모든 것들이 그쪽 시장에서 출발한 산…
-
국내에서 SaaS 마케팅의 인지도가 낮은 이유: SaaS 마케터도 그로스 마케터 못지 않은 전문직군이 될 때까지!해외에서는 SaaS 분야를 타깃으로 하는 전문 직렬이 많이 있어요. (EX. SaaS 콘텐츠 마케터, SaaS 그로스 마케터 등) 그렇지만 국내에서는 SaaS 마케터 등의 직렬은 찾아보기 힘들어요. 마케터는 다양한 업무들을 공통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중에서도 전문성을 가지는 분야로 나뉘어 지죠. 퍼포먼스, 그로스, 브랜드 등이요. 이런 구분에서도 SaaS 마케터 직군은 찾아볼 수 없다는게 아직까지 SaaS 마케팅에…
-
많은 B2B SaaS 기업들이 시작할 때는 소기업을 발판으로 삼는다. 가급적 많은 소기업들을 유료 고객들로 확보하는데 초점을 맞추다가 일정 규모가 되면 엔터프라이즈로 확장한다.하지만 아무나 이같은 성장 코스를 밟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기업에서 엔터프라이즈로의 확장은 대규모 계약을 맺고 테크판에서 명성도 키우는 지름길이지만 제대로 하는 건 생각보다는 꽤 어려운 일이다.이와 관련해 IT에 초점을 맞춘 투자 회사인 배터리 벤처스에서 운영 파트너로 있는 빌 빈치(Bill Binch)는 B2B SaaS 회사들이 소기업에서 엔터프라이즈로…
-
언제부터인가 많은 기업들이 블로그에 콘텐츠를 올리고 페이스북 같은 SNS를 통해 이를 공유한다.이런 가운데 최근에는 아예 별도로 미디어 조직을 운영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어 주목된다.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들은 자체 뉴스룸을 통해 단순한 보도자료를 넘어 수준급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고, 평가는 나름 괜찮다.B2B SaaS판도 예외는 아니다.B2B SaaS 개척자격인 세일즈포스는 세일즈포스플러스란 브랜드로 넷플릭스 같은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오픈했고 클라우드 기반 CRM 및 마케팅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는 허브스팟의 경우 팟캐스트와 뉴스레…
-
예전에 B2B SaaS 사업과 관련한 다양한 지표를 소개하며, 고객 획득 비용(customer acquisition cost, CAC), 생애 가치(lifetime value, LTV), 연간 반복 매출(annual recurring revenue, ARR) 등을 언급한 바 있다.모두가 B2B SaaS 기업들 사업 상태를 살펴보는데 유용한 지표들이다.영업 관련 지표들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B2B SaaS 업체 경영진들 입장에서 즐겁다고 할 수는 없으나 가장 중요한 업무들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지표는 사업 잘 되는 것과 잘 …
-
B2B SaaS 가격 모델은 크게 사용자당 정해진 금액을 받는 구독 방식과 쓴 만큼 비용을 부과하는 사용 기반(Usage-based) 종량제 방식 2가지가 있다.지금까지는 B2B SaaS 가격 정책은 구독이 대세로 여겨져 왔다. 아마존웹서비스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서비스 쪽에선 사용자가 쓴 만큼 돈을 받는 종량제가 당연하게 여겨졌지만 B2B SaaS의 경우는 정액제 구독 모델이 분위기를 주도해왔다.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좀 다르다. AWS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플랫폼을 넘어 미들웨어와 애플…
-
B2B SaaS 시장의 판이 커지면서 B2B SaaS를 주특기로 하는 스타트업들도 쏟아진다. 국내 시장은 상대적으로 좀 조용한 편이지만 미국의 경우 하루가 멀다 하고 B2B SaaS 모델로 투자를 유치하는 스타트업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꽤 많이 나왔는데도 줄지가 않는 모양새다. 당분간은 B2B SaaS 창업 열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이쯤되면 쏟아지는 B2B SaaS 스타트업들의 내공을 평가하는 것도 나름 품이 들어가는 일이 되지 싶다. 벤처 캐피털(VC) 입장에선 좋은 창업자와 개발자가 있다는 것 만으로 무턱 투자를 …